MS계정 로그인명 "a" 입력 , 암호 "a" 입력 시도 후 실패하면 로컬 계정으로 설치가 가능 합니다.
애드센스에서 2023년 3월 20일부터 사이트 페이지가 개편된다는 “애드센스의 사이트 관리 기능이 변경” 메일을 받으셨을 겁니다. 메일 내용 중 “사이트에 속하는 기존 하위 도메인은 계정에서 모두 삭제됩니다” xxxx.tistory.com 이 처럼 티스토리 모든 회원들 계정은 하위 도메인 계정입니다. “내 하위 도메인이 이제 사용 못하는 거 아냐?” 하고 걱정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하위 도메인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니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그럼 하위 도메인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애드센스에 추가할 수 있는 사이트 형식 변경 이제 다음 형식의 사이트만 애드센스에 ‘사이트’로 추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도메인(예: website.com, website.net) 도메인이..
2020년 기준 정책이 계속 바뀌는 시점에 현 맞춤채널도 큰 효과가 없을 정도로 빅 데이터를 소유한 커뮤니티 사용자가 아닌 이상 무의미한 것 같습니다. 작성한 글에 매치가 되는 광고가 붙어야 어느 정도 클릭으로 이어질 수 있듯이 키워드와 문맥 광고를 제공하는 구글 인공지능 AI는 사용자의 쿠키값이나 검색 결과에 맞는 광고를 자동으로 매치시켜 주는데. 보통 블로그 사용자들은 본문 상단과 하단, 사이드 그리고 본문 안에 직접 애드센스 광고를 넣어주는데요. 문맥과 일치하지 않는 광고인데도 호기심을 충분히 유발한다면 클릭이 발생할 수 있지만, 수익 단가는 큰 기대에 미치지 못합니다. 이게 부정 클릭과 반복이 이어지면 무효트래픽이 발생하고 이후 스마트 프라이싱(Smart Pricing) 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
애드센스 무효트래픽 공격자 추적 트래픽 공격자들은 국내는 물론 전세계 사설 VPN 망을 이용해서 애드센스 사용자들 목표로 무작위 공격을 하고 있다. 광고 단가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구글에 노출된 블로그나 사이트 타깃들을 죽이고 높은 광고 단가를 끌어 올려는 규모가 큰 대형 트래픽 공격자들이다. 전세계 우회 VPN을 사용 하고 있기에 IP 추적을 해도 사이버 수대에 신고 후 인터폴이 공조하지 않는 이상 수배는 불가 합니다. 저 처럼 수익이 미비한 사람들은 기다리면 자동으로 무효 트래픽 정지 해제가 되지만, 최악의 경우 광고 단가가 $0.01까지 떨어지는 스마트 프라이싱 까지 갈 수 있다. 애드센스 수익이 많거나 악의적으로 트래픽 공격을 받을 시엔 애드센스 측에 부정 클릭이 발생되고 있다고 신고해야 합니다. ..
블로그 운영 Tip 1. 블로그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할 것인가? 아니면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가? 국내향 블로그 서비스 플랫폼 중 대표적인 것은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가 있습니다. 이글루스, 다음 블로그 등도 있지만, 기능, 사용성, 인지도 면에서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블로그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하면 이 둘중 하나를 이용한다고 보면 됩니다. 방문자 유입을 초기에 빠르게 올리려면 네이버 블로그가 훨씬 유리합니다. 블로그를 통한 마케팅이나 제휴를 염두해둔다고 해도 네이버 블로그가 유리합니다. 네이버의 압도적인 검색 점유율 및 자사 컨텐츠 노출 우대 정책으로 인해 방문자 유입이 훨씬 잘되고, 검색 상위권 노출을 위한 전략 수립 또한 용이합니다. 애드센스 광고 수익을 목적으로 하거나 차별화 된 ..
티스토리 페이스북 페이지 자동글 전송하기 해당 티스토리를 페이스북으로 연동하기 위해서는 https://ifttt.com/feed 에 접속하셔야합니다. 위와 같이 접속이 되시면 하단의 Post Rss Feed Items to Facebook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다음페이지로 넘어가는데 Get Started를 클릭하여 다음을 진행합니다. 다음페이지가 나오면 로그인을 위해서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구글과 페이스북으로 계정 가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페이스북 연동이기때문에 페이스북으로 가입을 눌러 진행하면 팝업창으로 해당 가입을 위해서 페이스북 연동이 이루어집니다. 로그인을 하고 나면 해당 정보가 나타나게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페이지가 바뀝니다. 그럼 Turn on 버튼을 눌러 진행 하시면 위..
클릭 단가 높이는 비결 세 가지 애드센스 10년 이상 실전 경험자들이 말하는 확실한 비결.. 애드센스 정책은 수시로 바뀝니다. 2019년 최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한 페이지당 광고는 최소화 이건 정말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광고가 많으면 클릭할 확율이 높아진다고 생각해 많이 넣었지만 단가가 떨어져 수입이 줄어 듭니다. 개인적으로 페이지당 3개 이내가 적당합니다. 최근 구글에서 광고 수 제한이 풀렸지만 4개 이상을 권하지도 좋게 보지도 않습니다. 약 20번의 클릭으로 평균 5~10$ CPC 단가가 들어왔습니다. 수년 전에 하루 150번 클릭해 10달러도 되지 않았습니다. 요즘도 비슷합니다. 이유를 몰랐는데 알아보니 광고가 적으면 저의 블로그에 대한 경쟁이 심해져 입찰 단가가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
애드센스 Diy 가이드 북 아래 pdf 파일로 첨부합니다.
애드센스 총 수익 공식 애드센스 수익에는 광고 클릭으로 인한 수익과 페이지뷰에 의한 수익이 있습니다. 하지만 페이지뷰에 의한 수익은 굉장히 적기 때문에 없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그렇다면 애드센스 수익 발생의 원리는 내 블로그를 방문한 방문자가 포스팅을 읽다가 화면에 있는 광고를 클릭하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단순히 클릭을 많이 하면 애드센스 수익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구글 애드센스에 홈페이지나 앱에서 보면 여러 가지 용어로 내 블로그의 현황이나 수익 등에 대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당장은 그중에서 꼭 필요한 용어인 CPC와 CTR만 기억하면 됩니다. CPC(Cost per click)은 클릭 당 비용으로 광고가 1회 클릭되었을 때 어느정도 광고 수익이 블로거에게 주어지는지를 의미..
서식을 이용하여 본문 중간에 애드센스 광고 삽입하기 서식 글을 일정한 형식으로 쓴다면 서식 기능을 이용하는 게 편합니다. 원하는 구조로 글 형식을 만들어두고, 글 작성할 때 가져다 쓸 수 있습니다. 서식을 이용하면 본문 중간에 애드센스 광고를 넣는 것도 쉬워집니다. 서식 만들기 콘텐츠의 [서식 관리]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오른쪽 위에 있는 [서식 쓰기]를 클릭합니다. 원하는 모양을 만들고 [발행]을 클릭하면 서식이 저장됩니다. 서식 사용하기 글쓰기 화면 오른쪽 아래에 [서식]을 클릭하면 서식 목록이 나옵니다. 그 중에서 적용을 원하는 서식을 클릭합니다. 서식의 모양과 내용이 본문에 나옵니다. 이제 글을 쓰면 됩니다. 서식에 애드센스 광고 넣기 서식을 이용하여 애드센스 광고를 본문에 넣을 수 있습니다. 글..
사이드바에 있는 애드센스 광고는 정말 수익이 안 좋을까? 애드센스 광고는 주로 본문 상단, 하단, 사이드바에 게재합니다. 그 중에서 본문 상단이 제일 수익이 좋고, 사이드바가 제일 수익이 낮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사이드바의 애드센스 광고를 분석할 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PC와 모바일에서의 차이가 크다는 것입니다. 본문 상단은 PC에서도 모바일에서도 상단이지만, 사이드바는 PC에서는 옆에 있지만 모바일에서는 한참 아래에 있습니다. 사이드바 광고는 모바일에서 클릭이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사이드바 애드센스 광고가 PC에서는 어느 정도 수익이고 모바일에서는 어느 정도 수익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구글 애드센스 보고서에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에서 [광고 단위]를 클릭하고, 사..
구글 애널리틱스와 연결해서 페이지별 수익 알아내기 애드센스 보고서의 한계 애드센스 광고와 관련된 통계는 애드센스 관리자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얼마나 벌었는지, 몇 번이나 광고가 노출되었는지, 모바일에서는 얼마나 수익이 났는지, 광고 단위별로 수익은 어떻게 되는지 등 다양한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그런데, 가장 관심있어하는 한가지가 없습니다. 바로 어떤 글에서 얼마나 수익이 났는지입니다. 수익이 많은 글을 분석하는 게 중요한데, 애드센스가 제공하는 보고서에는 없습니다. 이 분석을 위해서는 구글 애널리틱스와 구글 애드센스를 연결해야 합니다. 애널리틱스 계정이 있고, 분석을 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애드센스와 애널리틱스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애드센스와 애널리틱스 연결 하기 애널리틱스 설..